이화장 이화장의 모습 이화장의 모습 이 화장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 1번지에 위치한 건축물로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집은 해방 후 귀국한 이승만이 안정된 거처를 마련하지 못해 불편한 생활을 하는 것을 알게 된 권영일 등 33명이 돈을 모아 1947년 이 집을 사서 기.. 근현대사 2013.11.07
일본노무시키들 잘려간 양민들의 모습.일본군이 장난 삼아목이 잘린 시체의 손을 자신의 잘린 목부분을 가르키게 해놨다.저런 끔직한 일은 일본군에겐 단지 장난에 불과했다. ▲일본 관동대학살 (1923년) 1923년 일본 관동일원에 대지진이 발생하여 10여만명이 사망 했다민심이 극에 달하자 일본 정부는 한.. 근현대사 2013.10.23
잡지에 실린 60년대 광고 잡지에 실린 60년대 광고 요즘은 흔한게 라디오지만 당시에는 고가품이었지요 70년대 후반까지 어린이 영양제로서 부동의 자리를 지킨 제품. 고소하고 맛있었는데 시골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통하던 항생제......효과가 정말 좋았어요 영화포스터"계약결혼" 이때에도 실제 계약 결혼이란.. 근현대사 2013.10.23
교복변화 1882년과 1907년 "1882년 ‘홍둥이’부터 1983년 교복의 자율화까지" 우리나라는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이화학당에 1886년 여학생의 교복 제정이 최초로 실시되면서 러시아제 붉은 목면으로 제작된 치마저고리 위아래 한 벌을 입게 됐다. 이것이 이른바 ‘홍둥이’라 불리면서 최초의 교복.. 근현대사 2013.10.23
박정희대통령이 남긴 휘호 박정희대통령이 남긴 휘호 국민총화 총화전진 1977년 1월 1일 병오년 새아침 (1966년 1월 1일) 신년휘호 근검절약 국론통일 1970년 新年휘호중의 한 작품 개척과 전진의 필체는 힘이 있으면서도 강직함이 느껴진다. 1970년은 산업 경제 분야에서 많은 활동과 성과를 이루어 낸 해로,남해고속도.. 근현대사 2013.10.23
논바닥에서 펑펑 울던 대통령 논바닥에서 펑펑 울던 대통령 경기도 김포들녘에서 모심기를 하시고 농수로에서 고무신 씻는 대통령 1979. 5. 23 (박 대통령 서거 5개월전) 1960년대 극심한 가뭄으로 농민들이 고통을 겪을 때 아주 늦은 밤 마침내 기다리던 단비가 내렸다고 한다. 모두 잠든 시간, 박정희 대통령은 조용히 운.. 근현대사 2013.10.23
[동영상] 이승만 박사의 육성방송 (1942년) [동영상] 이승만 박사의 육성방송 (1942년) 나는 이승만입니다. 미국 워싱턴에서 해 내외 2300만 동포에게 말합니다. 어디서 든지 내말 듣는이는 자세히 들으시오 들으면 아시려니와 내가 말하는 것은 제일 긴요하고 제일 기쁜 소식입니다. 자세히 들어서 다른 동포에게 일일이 전파하시오. .. 근현대사 2013.10.23
우리는 이렇게 싸웠노라 우리는 이렇게 싸웠노라! 6.25 寫眞資料 귀한 자료입니다 한번 살펴보세요. ▲ 1950. 7. 5. 한 국군 용사의 무덤. ▲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 근현대사 2013.10.23
이런 기막힌 독도에 대한 사실을 국민이 모르고 있다 이런 기막힌 독도에 대한 사실을 국민이 모르고 있다★★ ※ 박정희 정권때 1965년에 체결된 경계선은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것을 전제로그은 것이고 ※1998년 김대중이 서명한 경계선은 독도가 우리땅이 아니라 는 전제하에 그어진 선이다. 이런 기막힌 사실을 일반 국민들은 잘 모르고 .. 근현대사 201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