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해상 자위대와 한국 해군이 지난해 12월 23일 아프리카 동부 소말리아 아덴 만에서 합동 훈련을 실시했던 것으로 12일 일본 산케이신문 보도에 의해 알려졌다.
양국간의 이번 공동 군사훈련은 한국 측이 일본에 공표하지 말 것을 요청함으로써 비밀리에 진행됐다. “부대 간의 친선 교류가 목적이었지만, 한국 해군은 공동 훈련 실시 발표를 자제해달라고 해상 자위대에 요구했다”는 것이다.
산케이신문은 “(한국)국내에는 자위대에 대한 ‘알레르기’가 뿌리깊어 한국군은 일본과의 2국간 훈련과 군사 교류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미 해군이 공동 훈련에서 빠진 것 때문에 해상 자위대에 (한국이)비공표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해상 자위대와 한국 해군의 함선 1척 씩이 참여하고 통신훈련과 전술운용 등을 실시, 해적 대처 능력의 향상을 도모했다”며 “당초 미 해군을 포함한 3개국의 공동 훈련으로 조정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예정되어 있던 미 구축함은 다른 임무에 따라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
||
▲ 일본 가나가와(神奈川)현에서 열린 해상자위대의 관함식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출항 준비중인 한국 해군의 대조영함. 사진=연합뉴스. | ||
산케이신문은 “한일 양국 정부는 2012년 6월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GSOMIA)’을 체결할 예정이었지만, 국내 여론의 반발을 받은 한국 정부가 서명식 직전에 취소 한 바 있다”고 설명한 뒤 방위성 간부의 말을 인용해 “보안분야는 정치안건과 역사인식을 반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보도했다.
한국군이 일본 자위대와 공동 훈련을 진행한 것은 처음이다.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역사청산이 이뤄지지 않았고 일본군의 해외진출이 평화헌법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상황에서, 비밀리에 진행된 이번 한일간의 공동 훈련에 대한 여론의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앞서 지난9월 정호섭 해군 참모총장은 국정감사 자리에서 “대북 억제 차원에서 키리졸브 훈련에 일본도 참여해 연합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한달 뒤인 10월엔 황교안 국무총리가“부득이한 경우 우리나라(정부)가 동의한다면 (일본 자위대가)입국할 수 있다”고 발언해 파문이 일었다.
국내 여론의 반발을 무릅쓰고 진행되어온 위안부 합의의 진행과정과 거의 동시에 이뤄져온 군사협력 강화 움직임은, 위안부 합의의 실질적인 목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주도하는 3각동맹의 강화 움직임 하에서,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을 포함하는 한일간 군사공조에 대한 합의가 국민들이 모르는 사이에 상당수준 진행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