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오픈하우스

황토찜질구들방시공

백삼/이한백 2015. 3. 20. 16:15

복사 http://hongoo76.blog.me/90186916382

전용뷰어 보기

 

구들 황토방-별채 만들기 

1. 규모를 정한다  


 본 채가 지어진 터의 한 가장자리 여유로운 곳에 터를 정한다. 보통 구들방 한 칸은 9자×12자 방이다. 약 3평 정도이다. 조금 작은 느낌이 들 경우 3.5×4m 정도(약 4.2평)로 하면 된다. (욕심을 내어 구들방과 결합한 툇마루를 놓을 경우 그 폭을 2m 이상으로 하여야 쓰임새가 있다)

2. 기초공사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 줄 기초를 하면 좋겠으나, 직영 공사일 경우 건물 외곽선을 폭 60cm, 깊이 60cm 정도로 파서 잔돌로 잡석다짐을 하고 그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약 30cm(레미콘 3㎥정도)친다. 그 위로 약 80-90cm 정도 높이로 건물 테두리기초를 만든다. 하단부 30cm(흙으로 되메우기 되는 부분)는 일반 시멘트 벽돌로 기초 하단부를 잡고 그 위 약 50-60cm는 바깥쪽으로 치장벽돌 1장, 안쪽으로 시멘트벽돌 3장 쌓기(폭 40cm정도)를 한다. 다른 방법으론 주변의 크고 작은 돌들을 모아 돌담 쌓기처럼 폭 40cm로 쌓아 올리는 방법도 있다. 이때는 진흙과 시멘트 몰탈로 돌 사이를 잘 메꾸어 연기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기초공사시 아궁이 위치와 굴뚝 위치는 미리 규격을 정해 구멍을 뚫어 놓아야 한다.  

3. 집 모양 갖추기 - 뼈대, 지붕, 그리고 벽체 공사

 규모가 작으므로 굳이 비용이 많이 드는 한옥 방식의 목 구조로 집의 뼈대를 자지 않아도 된다. 기초 위에 구들방 방박닥 높이를 계산하여 그 위로부터 흙벽돌을 쌓아 올려 집의 벽체를 구성하면 되는데 이 때 코너 기둥의 위치는 흙벽돌과 이어 치장벽돌로 기둥처럼 만드는 것이 좋다. 치장벽돌 약 400장, 흙벽돌 300×200×140 규격 250장 정도가 필요하다. 치장벽돌 기둥 위에 처마 도리 기능을 하도록 사각 6치(약 18cm)정도의 목재를 사방 고정하고 용마루 지붕선을 만든 후 지붕을 만들면 된다.
  맛배(박공) 지붕 형태로 용마루 선을 목재로 만든 다음 2×4 각재나 주변에서 벌목한 약 10-12cm 정도의 소나무나 잣나무, 낙엽송을 다듬어 서까래로 사용하면 된다. 서까래의 간격은 30cm(한 자) 간격으로 하면 짜임새가 있다. 보통 40cm 정도로 하여도 된다.
  처마 쪽에는 미송합판으로 마감하고, 집의 내부 천장에는 80-100mm 스치로폼을 서까래 위에 얹는다. 스치로폼 사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목재로 상을 걸어준다. 그 위로 각재(현장에서는 다루끼라고 한다)를 30cm 처마 끝과 용마루 선에 맞추어 덧집 형태로 지붕 모양을 최종 완성한다.
  그 위에 OSB 방수합판이나 일반 합판을 깔고, 아스팔트 슁글 판매상에서 방수시트와 슁글을 사다가 깔면 된다. 접착 면을 잘 이어 붙이고 슁글은 못으로 잘 고정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금속 기와나 한식 기와, 너와로도 지붕을 마감할 수 있다.  

4. 창과 문 공사

 창과 문은 의뢰하는 것이 좋다. 창은 외부에는 샷시(우드샷시나 알루미늄샷시)창으로, 내부는 목 창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툇마루와 연결되었을 경우 4짝 분합 문으로 통행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문틀과 흙벽 이음매 고정을 위해 흙벽돌 조적시 가창틀(또는 인방)을 넣는 것이 필요하다.  

5. 구들방 공사

 기초 공사시 테투리 옹벽(돌기초 포함)의 폭을 40cm로 한 것은 벽체 두께를 약 30cm(흙벽돌 대자와 소자로 2장 쌓기를 하든, 흙벽돌을 세로로 하여 30cm로 하든)로 하고, 10cm는 구들을 얹을 수 있도록 함이다.

(1) 자재 준비
 3.5m×4m 크기의 구들방(약 4.2평)을 기준으로 보면 45-55cm 크기의 구들장 약 60장, 잔 돌, 시멘트 벽돌이나 적벽돌 1800-2000장, 시멘트, 모래, 진흙(황토 몰탈이면 좋다), 굴뚝 자재(토관 또는 스덴주름관+치장벽돌)

(2) 아궁이와 부냉기  
  가마솥을 놓을 것인가, 아궁이만 할 것인가에 따라 아궁이 만드는 방식이 다르다. 아궁이 입구는 가로 25cm정도, 높이 35-40cm정도가 적당하다. 아궁이에서 불이 넘는 부냉기는 가로 30cm, 세로 20cm 정도로 턱을 주어야 한다.

(3) 고래 개자리, 구새(굴뚝)자리
  고래 개자리란 방 윗목 고래 끝부분을 말한다. 폭 30cm,  깊이 45-50cm 정도로 윗목 개자리보다 낮추어 적벽돌로 쌓는다. 굴뚝 내경은 폭 30cm, 깊이 15cm정도로 하여 고래 개자리와 잇닿아 만들며 고래 개자리에서 굴뚝으로 넘어가는 턱을 주어 열기가 한꺼번에 빠져 나가지 않도록 시공한다.

(4) 고래
  불길을 내고 구들장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을 고래라 한다. 아궁이에서 고래 개자리까지의 경사도는 5-8도를 유지한다. 시공하기 까다롭지 않은 곧은 고래 방식으로 한다. 고래의 뚝 높이는 약 25cm 정도로 하며, 고래 뚝 폭은 약 20cm(벽돌 2장 폭)로 한다. 고래와 고래 간격은 구들장 크기를 고려하여 약 30-35cm 정도로 하면 된다. 아랫목에서 고래 개자리가지의 블록은 7-8개 정도로 한다. 방 가운데는 깊게 가장 자리는 낮게 하여 열 전달이 고루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고래는 평평한 돌을 진흙과 시멘트 몰탈로 이겨 쌓을 수도 있고, 시멘트 벽돌이나 적벽돌로 쌓아도 된다. 내화 벽돌을 구하여 쓰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다.

(5) 구들 깔기
  고래 위에 구들을 얹는다. 아랫목에는 두꺼운 구들을 놓고 윗목에는 얇은 구들을 깔아 열 전도가 골고루 될 수 있어야 한다. 구들장은 잔 돌을 고여 고정하고 구들장과 구들장 사이에는 잔돌로 새침을 막는다. 구들장과 구들장 사이의 이음매를 된 반죽으로 뭉친 진흙을 내리쳐 세게 새침한다. 아랫목이 깊고 윗목이 약간 높도록 구들을 놓는다.    
    
(6) 황토몰탈 마감하기
  일반 기름 보일러등 이중 난방을 할 경우 구들장 위에 반죽하지 않은 황토를 갈고 잘 다진 후 와이어 매쉬를 깔고 배관한다. 엑셀 파이프 배관으로 하지말고 스덴 파이프 주름관으로 배관(엑셀파이프가 구들 난방으로 녹을 수 있기 때문에)한다. 황토 흙을 채로 쳐서 고운 황토로 만들고 모래와 혼합하여 초벌을 바른다. 물기가 빠지면 미장 칼로 중벌 바르기를 하면서 2-3번 누름 칼질을 한다. 그 후 약 4-5시간 경과 후 얇게 마감 미장을 하여도 되고, 중벌 미장 후 시간을 두고 마감 손질만 하여도 된다. 자재를 시중에서 판매하는 황토 몰탈로 시공하면 큰 하자는 없다. 약간 경사진 구들방 위에 수평을 맞추어 아랫목은 약간 두껍게 바르고 윗목은 얇게 발라 전체적으로 따듯하도록 고려한다. 황토 미장의 두께는 3-4cm 정도로 한다.  

(7) 구새(굴뚝), 불 맞이 돌  
   구새의 내경은 사방 15cm 정도가 적당하다. 스덴 주름관으로 연통을 만들고 외부를 치장벽돌 조적 굴뚝으로 모양을 내서 쌓아도 되고, 주변의 돌과 황토, 시멘몰탈로 이겨 구새를 만들어도 좋다. 길고 좁은 항아리밑을 깨어내고 이어서 구새를 만들기도 한다. 높이는 지붕 용마루선 보다 약간 높게 하여야 바람이 내지 않고 연기를 잘 빤다. 비가 들어가지 않도록 구새 갓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고래 개자리와 연결된 구새 하단부의 뒤쪽으로 불 맞이 돌을 넣어 놓는 것이 필요하다. 개자리 바닥에서 약 18cm 높이에 12×20cm 정도의 돌을 끼어 넣어 구새 청소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8) 내장 마감 창, 문 설치
 벽체와 구들가지 완성되면 천장은 석고보드 마감한다. 30cm 간격으로 목재로 상을 걸고 이음매를 본드로 칠한 후 석고보드를 타카 못으로 고정한다. 서까래 노출로 하고자 할 때는 지붕 공사시 천장 하단부에 미송합판이나 루바로 마감해 두어야 하며 서까래 사이의 공간을 막는 단골메기를 잘 해 주어야 한다. 창과 문을 설치한다.  

(9) 도배 및 장판 마감
  약하게 불을 지펴 연기로 말린다. 건조된 상태에서 황토미장이 갈라지면 고운 분말을 내어 이긴 황토로 메운다. 병이나 사발로 밀어 넣는다. 상태를 지켜본 후 충분히 건조되었다고 판단하면 도배 후 장판 마감을 한다. 바닥 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초배지를 밀착시켜 바른다. 꼭 꼭 눌러준 후 초배지가 마른 상태에서 초배지의 끝만 풀칠하여 이어 붙인다. 그 위에 한지 종이를 끝만 풀칠하여 같은 방식으로 마감한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콩기름 한지장판은 물에 하루 동안 담아둔 후 펴서 시공한다.

(10) 콩 땜
  재래적인 방법으로는 메주콩을 갈아 들기름과 섞은 후 기저귀 천 등에 담아 사발이나 병으로 밀어 콩 땜을 먹인다. 3-4차례 해 주어야 면이 곱다. 편리한 방법은 100% 콩기름 식용유를 끓인 후 식혀 붓으로 칠하는 방법도 있다. 콩기름 종이장판 시공 시 별도의 콩 땜은 하지 않는다. 살면서 콩기름 식용유를 끓여 붓으로 칠해주면서 보양하면 오래 간다.  
 
 황토주택시방서

 01. 기초공사

기초공사와 화장실 공사에서만 오로지 시멘트를 쓴다
잡석다짐은 60~80m/m의 잡석을 사용하며 기초의 길이는 지반 및 동결심도에 따라 0.5~1m로한다.
집은 남향으로 짓는게 원칙이며 건축주 결정의 따라 표준배치도인 ㅡ,ㄱ,ㄷ,ㅁ,자형 형태에서 가족인원, 주변환경, 기후, 땅의 지세에 따라 결정한다.
 
02. 황토블럭공사
수해에 대비하여 기초콘크리트 30cm 위에서 조적한다.
외벽은 두장 쌓기가 기본이며, 조적시 벽돌 중앙에 타이백(방음 및 단열재)을 필히 넣고 시공한다.
외벽을 한장 쌓기가 불가피할 경우 필히 1액형 황토단열재 시공 한 후에 황토미장재를 20m/m정도 두껍게 미장한다.
황토블럭 소요량은 2장 쌓기는 300X180X110일 경우 1평에 62장 소요되며 1장 쌓기는 300*200*200일 경우 1평에 56장 소요된다.
황토블럭은 황토몰탈재로 시공하며 조적의 안정성 확보위해 블록매쉬를 사용하며 1일 작업량은 1.3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황토블럭을 노출할 경우 일반 줄눈시멘트 대신에 황토줄눈재로 시공한다.
03. 목공사
국산 육송, 미국산 미송, 러시아산 러송, 중 선택하되, 발주하여 충분한 건조기간을 주어야만 원목의 갈라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40평 원목 황토주택의 나무 소요량은 대략 7000~8000사이 정도 된다. (도면에 따라 다를수도있다.)
국산 육송을 사용시 수액의 이동이 멈추는 겨울철에 벌목한 통나무를 사용하고 통상 수분함수율이 20%이하의 원목을 쓰도록 한다.
상방,중방,하방 원목은 지름이 200~250m/m를 사용한다.
고미반자(천정)공사는 거실은 초가풍형 공사로 노출시키고 다른방의 천장은 석고보드를 사용하며 마감한다.
벽체나 천정에 건축주가 루바나, 한지로 요구할때는 상황에 변화를 시킬 수 있다.
04. 지붕공사
지붕재료는 너와,기와,아스팔트슁글재,금속기와가 있는바 경제성,내구성을 고려하여 금속기와나,아스팔트 슁글재로 대부분 시공되고 있다.
목재 트러스트 위에 내수함판을 깔고 지붕공사를 할 경우와, 써가래 위에 합판을 깔고 하는 공법이 있으며, 지붕방수공사는 통상 시트방수소 한다.
지붕골조는 대공,마룻대,써가래로 구성되며 대공과 마룻대는 원목지름이 200~250m/m이상을 사용한다.
사찰,전통한옥에서는 (토기와)한식기와(KS)꼭 사용한다.
 
 
05. 창호공사
목창틀 시공시는 나무두께가 100m/m이상이어야 한다.
목창틀은 내부 전통 띠살창(황토지)+방충망+외부 16m/m 격자창으로 구성되거나, 시스템 창호로 구성된다.
현관문은 전통 창호에의한 분합문과 디지털 현관문이 있다.
주방과 거실,발코니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해 창문을 통해 바깥의 전원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사찰,전통한옥에서는 홍성살문 미닫이,여닫이 사용한다.
건축주가 샷시나 다른 제품을 요구할시 시방서 내역(또는 계약서)에 꼭 명시한다.
 
06. 황토미장공사
전통적인 미장공사는 대나무,미송각재등으로 엮는 산자에다 앞벽차기,뒷벽차기로,초벌바름,정벌바름으로 공사를 한다.
개량형 황토미장공사는 산자대신에 메탈라스를 시공후 초벌바름,정벌바름으로 하여 공정을 앞당긴다.
벽지대신에 황토로 마감코저 할 경우엔 분말황토에 대신에 일액형제품인 황토본타일이나 황토미재(力3000)를 사용한다.
균열방지 목적으로 수사,볏짚,목분을 접착력 증강 목적으로 해초,전분 등 무공해 황토미장 공사를 하도록 한다.
바닥은 4cm미장시는 홍토분말재(力5000)로 2cm이하 시공시는 황토미장재(力3000)로 시공한다.
 
 
 
07. 방수공사
황토는 방수에 취약하므로 시공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액체방수 보다는 투수비zero이며 경량겅인 부기질도막 방수재를 시공하며,
적용대상은 주방벽면(1회),화장실(2회),현관바닥(2회),지상에서 약50cm 까지의 황토조적체를 2회 시공한다.
 
08. 난간공사 및 어린이를 위한 배려
어린이 안전사고를 위한 배려로 난간높이는 110cm 이상으로 하며,창호공사시 창문은 안전고리와 안전망 설치,출입문은 완충기 설치,화장실은 타일미끄럼 방지재를 시공한다.
특히 각 방의 문턱을 없애 어린이가 쉽게 다닐 수 있도록 한다.
 
09. 베란다 공사
앞 베란다는 나비가 날아들어 쉬어 가게 할 만큼 목가적 분위기를 연출하며 뒤 베란다로 거실로 연결된 목가적인 뒷뜰을 만든다.
고층아파트 일 경우 황토찜질방재(6000번)를 약 4cm 시공하여 땅의 기운을 받도록 한다.
먼저 2cm로 황토찜질방재를 시공한 후 면상발열체(약600W)를 넣어 동절기 저온찜질방 또는 휴식 공간이나 어린이 놀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약간의 추가적인 비용을 들일 경우 베란다 옆에 홈바를 내장하여 간이의자에서 칵테일을 즐기실 수 있다.
 
 
10. 구들장공사
방 한곳을 전통 구들장으로 만들어서 찜질을 하거나 사랑방 카페를 만드는 것도 좋다.
-
-
-
-

-
-
아궁이의 폭은 30cm, 높이는25cm로 하며,
연기와 열을 빨아들이는 부넘기는 45˚각도로 하되 부넘기가 끝나는 부부은 90˚직각으로한다.
축열을 하는 고래는 폭 15cm,높이20cm로 하며,
받침돌인 고래뚝과 구들장은 이왕이면 맥반석판재 가공공장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비정형 판재를 구입하여 사용하면 맥반석찜질방을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구들장의 틈새는 황토찜질방재를 잘 메꾼다음에 바닥미장을 하며,
굴뚝은 용마루로부터 약 1m 놓이로 하여 연기가 잘 빠지도록 환풍기를 달수도 있다.
 
11. 설비공사
통상 하수관은 75m/mPPC,오수관은100m/mPPC 사용한다.
난방은 일반 엑셀파이프, 심야전기보일러, 중 택일하고 재래식 구들장방을 1개 들 수 있다.
건축주가 동파이프로 시공을 원할때는 추가금에 속한다.
12. 각 방(房)의 원적원선 체험실화
큰방 - 황토방공사
-
-
-
-

-
황토,블럭 위에 초벌은 참숯미장지를 4m/m정도 발라서 집안에서 삼림욕을 느끼게 한다.
바닥은 수맥탐사를 하여 수맥이 흐르면 숯파우다 및 동판을 시공하여 수맥을 방지한다.
황토+일라이트석이 함유된 황토분말재로 약 4cm 시공하여 가정용 찜질방을 구현한다.
벽면마감은 벽지대시에 황토본타일(2000번)으로 뿜칠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담배 및 음식냄새 흡수등 쾌적한 환경을 만든다.
청정마감은 채도를 고려하여 황토일변도에서 벗어나 밝고 깨끗한 백운모본타일(백색)로 마감하여 색상의 앙상블을 이룬다.
 
 
작은방1 - 일라이트방(공부방)
-

-
-
작은방은 상온(37℃)에서도 원적외선이 대량 방출되어 산소량증가, 습도조절력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주의 집중력을 높여주는 일라이트방으로 한다.
벽체는 일라이트 찜질방재로 2cm정도 미장하고 바닥은 일라이트 찜질방재로 약 4cm시공한다.
일라이트방은 피로회복 및 신진대사의 촉진으로 수험생에게 매일매일 원기를 복돋아 줄 수 있다.
 
 
작은방2 - 황토사우나방
-
-


-

-
평상시는 일반방으로 쓰고, 몸이 찌푸득 할 때 황토사우나로 이용한다.
벽체에는 전자파가 없는 변상발열체나, 열매체를 이용한 파이프를 내장하고, 벽구석엔 세라믹히터를 설치하며, 바닥은 엑셀간격을 통상 20cm에서 15cm로 줄여서 시공하여 발열량을 높여 실내 온도가 50~60℃에 이르도록 하여 황토사우나를 즐긴다.
단열공사는 열손실을 막기위해 황토블럭위에 황토단열재(力1000번)를 시공하면 천장위에는 세라크울 단열재로 시공한다.
바닥마감은 맥반석비정형판재(구들장역할함) + 화이버글라스(균열방지) + 황토몰탈 + 무기물코팅하여 황토방을 노출시킬 경우 온도가 약10℃ 올라가 약 50~60℃되어 찜질방화된다.
 
 

[

'한옥·오픈하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독대  (0) 2015.06.10
한옥  (0) 2015.05.04
구들  (0) 2015.03.20
[스크랩] 구들놓는법  (0) 2015.03.20
자재분석,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0) 201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