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와 전통식품

●동지팥죽과 애동지에 대해서●

백삼/이한백 2014. 12. 22. 14:44

 

 

 

 

 

 

 

 

 

 

 

 



 

[TV리포트=이현희 기자] 애동지는 팥죽 대신 팥떡을 먹는 날로 알려졌다.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22일)은 음력 11월 10일 초순에 들어오는 애동지. 이에 아이에게는 팥죽 대신 팥떡을 먹인다.  '애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아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기에, 팥죽 대신 팥떡을 만들어 애동지를 보냈다.



 

동지가 음력으로 동짓달(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兒冬至), 동짓달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동짓달 하순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이날이 되면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한편 동지는 1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팥죽과 애동지에 대해서●

1. 동지(冬至)

가. 동지는 양력(陽曆)을 기준하여 24절기중 하나이다.

나. 동지는 음력(陰曆)으로는 11월에 든다.

다. 동지는 고대시절에 "설"로 삼았다해서 "아세(亞歲)"라고 부른다.
☞버금 아: 亞
☞해 세: 歲

라. 동지가 지나야 한살을 더 먹는다고 한다.

마. 동지가 지나야 1년이 시작된다고 하는 "동지첨치
(冬至添齒)"의 풍속이 있다.
☞첨가할 첨 / 더할 첨: 添
☞이 치 / 치아 치: 齒

바. 동지에는 자신의 나이 수 만큼 새알심(단자)을 먹는다고 한다.
사. 동지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아. "동지섣달 해는 노루 꼬리만 하다"라는
속담이 있다.

자. "섣달이 아홉이라도 시원치 않다"라는
속담이 있다.

차. "동지섣달에는 닭서리다"라는 속담이 있다.

카. 옛부터 "단오 선물은 부채요 동지선물은 책력이다"라고 했듯이

 책력은 농경사회에서 생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요긴하게 사용되었던

'생활의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요즘에는 서점이나 불교만물상에서 쉽게 구입 할 수가 있다.

타. 삼재가 들어 있거나 들어오는 사람은 동짓날이나 동짓날을
전.후로 삼재풀이 또는 홍수액맥이를 막아 주면 좋다.

2. 동지 팥죽

가. 팥 앙금에 찹쌀가루 또는 찹쌀가루 반절에 맵쌀가루 반절을 섞어서

새알심(둥그런 단자)을 만드는데, 찹쌀로만 하면 너무 뭉게지고 질어서
보통은 찹쌀과 맵쌀을 반반씩섞어서 가루를 낸다.

나. 일부 지역에서는 팥 앙금에 새알심을 넣고 쌀을 추가로넣어서

 동지팥죽을 쑤기도 한다.

다. 동지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祀堂)에 올려서"동지고사(冬至告祀)"를 지낸다.

사당이 없으면 생략하고 무속 신령제자님은 "신당(神堂)"으로 올리면 된다.

라. 그 다음에 각 방마다, 장독대, 헛간이나 창고, 베란다, 보일러실, 부엌, 화장실,

대문(현관) 앞에도 한그릇씩 가져다 놓는데, 대문 앞에는 지역에 따라서 팥죽을

조금뿌려 놓기도 한다.

마. 부엌(=조왕)에 올려놓은 동지팥죽은 나중에 내려서
가족들이 함께 나누어 먹으면 더더욱 좋다.

바. 이렇게 하는것은 천신(天神)께 인사 올리고 집안의 곳곳에 있는

 잡귀악귀 등을 쫓아내는 의미가 있다.

사. 팥은 붉은색이니 "양색(陽色)"이라 "음귀(陰鬼)"를 쫓아내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아. 동국세시기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공공씨(共工氏)편을 보면 동짓날 '벽사(벽邪)"
즉 귀신이나 잡귀를 쫓아내는 내용에 대해서 나온다.
(신령님께 .....)
가. 안방에는 제석신, 조령에는 삼신,
대청마루에는 성주신,
부엌에는 조왕신, 장독대에는 철륭신,
화장실에는 측신,
문간에는 수문장신, 마당에는 터주신 등이 있어서
동짓날 동지팥죽을 쑤어서
반드시 한그릇씩 가져다 놓아야 한다.

나. "애동지"인지 모르고 팥죽을 쑤어서 먹은것은 괜찮다.


다. 사찰에서는 일반 민간신앙과는 다르게 동짓날 동지팥죽을 쑤어서 사부대중
즉 불교신자나 일반인에게 나누어 준다.그래서 '애동지' 때에는 집에서 팥죽을

쑤지 않고 그대신 절에가서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라. 요즘에도 각 사찰에서는 지역 관공서나 일반인과 연계하여
동짓날에 "동지팥죽 나누기'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마. 속설에 의하면... "애동지"때에는 어린아이가 많이 죽고,
"중동지(中冬至)"때에는 청.장년층이 많이 죽고,
"노동지(老冬至)"때에는 노년층이 많이 죽는다고 한다.

3. ♣ 애동지 ♣

가. 애동지는 "아기동지", "오동지", "애기동지"라고도 부른다.

나. 애동지에는 "동지팥죽"을 쑤지 않고, 그대신 "팥시루 떡"을 만들어서 먹는다.

다. 애동지는 음력으로 11월초 즉 "11월1일부터 10일까지" 사이에 들면 애동지라 한다.
양력으로는 12월22일경이다.

라. 애동지 때 팥죽을 끓여 먹으면 어린 아이들에게 질병이 들거나 안좋은 일들이 많이 발생한다 하여 팥죽 대신에 팥시루 떡으로 만들어 먹는다.

마. "애동지에는 어린아이들이 많이 죽는다"라는 속설이 있다.

4. 중동지(中冬至)

가. 음력으로 11월 중순 즉 "11월11일부터 20일까지" 사이에 들면 "중동지"라 한다.

나. 이날에는 팥죽을 쑤어서 먹는다.

다. "중동지에는 청년,장년층이 많이 죽는다" 라는 속설이 있다.

5. 노동지(老冬至)

가. 음력으로 11월 하순 즉 "11월21일부터 30일까지" 사이에 들면 "노동지"라 한다.

나. 이날에는 팥죽을 쑤어서 먹는다.

다. "노동지에는 노년층이 많이 죽는다" 라는 속설이 있다.


6. 동지의 구분


2001년도-------12월22일-------11월8일-------애동지
2002년도-------12월22일-------11월19일-------중동지
2003년도-------12월22일-------11월29일-------노동지
2004년도-------12월21일-------11월10일-------애동지
2005년도-------12월22일-------11월21일-------노동지
2006년도-------12월22일-------11월3일-------애동지
2007년도-------12월22일-------11월13일-------중동지
2008년도-------12월21일-------11월24일-------노동지
2009년도-------12월22일-------11월7일-------애동지
2010년도-------12월22일-------11월17일-------중동지
2011년도-------12월22일-------11월28일-------노동지
2012년도-------12월21일-------11월9일-------애동지
2013년도-------12월22일-------11월20일-------중동지
2014년도-------12월22일-------11월1일-------애동지
2015년도-------12월22일-------11월12일-------중동지
2016년도-------12월21일-------11월23일-------노동지
2017년도-------12월22일-------11월5일-------애동지
2018년도-------12월22일-------11월16일-------중동지
2019년도-------12월22일-------11월26일-------노동지
2020년도-------12월21일-------11월7일-------애동지



Arirang - 나윤선

'효소와 전통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라지 조청  (0) 2015.05.05
복숭아 식초버섯  (0) 2015.01.10
청매실 황매실  (0) 2014.10.08
쇠비름조청  (0) 2014.09.03
도라지조청  (0) 2014.09.03